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0208 경제성장
    잡설 2023. 2. 8. 17:16

    https://ourworldindata.org/economic-growth

     

    Economic Growth

    All of today’s rich countries were poor in the past – how do poor countries become rich?

    ourworldindata.org


    #경제성장

    절 정리된 이 글을 보니, 농업사회에서의 경제는 제로섬 게임이었다. 경제 성장은 편익이 아닌 인구를 증가시켜 농업생산성이 높은 지역에서도 개인의 부가 많은 편은 아니었다고 한다.

    인구라는 장벽을 돌파하여 경제가 성장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했을까. 인력과 마력을 넘어서는 화석연료와 엔진의 힘. 질소를 고정하여 비료로 만드는 등, 공업력으로 농업력을 높이는 화학 기술.

    인력을 대체하는 비인력 노예의 힘. 사람이 하던 단순 반복 정리를 기계가 대체하여 생산성을 높이게 된 과정. 주산 대신 컴퓨터 사용법을 배우게 한 전산화.

    인프라와 보호를 제공하는 도시화의 힘. 산업과 교역과 분업을 통한 재화 수입.

    ——

    그래서 출생률이 감소하고 도시 집중이 과도해 지는 것이 그리 나쁜 일이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서구형 복지의 끝판왕이라거나 유토피아적 아이디어로 취급되던 기본소득이 ‘주식 시장’이라는 아이디어 처럼 경제를 한층 개선할 장치가 될 수도 있겠다는 확신도 강해진다.

    최근 수십년 또는 백년은 지난 수천년 또는 수만년과는 전혀 다른 세상이다. 다만 인력을 대체하는 불의 힘, 즉 탄소화합물 형태로 압축된 태양에너지 자원을 소모하면서 이산화탄소 및 각종 물질을 배출하며 인구수보다 많은 가축을 부양하기 위해 다른 종의 대멸종을 일으켰다.

    인구가 적어도 국력이 강해질 수 있다. 평형점과 조건은 다른 선으로 옮겨질 것이다. 성장을 인구 대신 편익과 행복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적으로 인간이 하던 일을 외주화함으로써만 가능한 것이다. 로마 제국이 시민과 인간을 좁게 규정하고 끊임없이 노예를 수급해야만 했듯이.

    재택 생활과 키오스크가 새롭지 않게 되었을때 또 특이점이라는 개념이 특이하지 않게 됐을때, 이런 현상은 이미 다시 시작되고 있었다. 제로섬 세상에서 흑사병 이후 살아남은 생존자들에게는 경제 성장이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반응형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211 세대우주선  (0) 2023.02.11
    20230209 chatbot 전망  (0) 2023.02.09
    20230205 chatbot 전망  (0) 2023.02.06
    20230204 정치적분극화  (0) 2023.02.05
    20230204 chatGPT lyrics  (0) 2023.02.0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