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0203 Edge of the universe잡설 2022. 3. 12. 03:46
https://www.forbes.com/sites/startswithabang/2020/01/21/how-far-is-it-to-the-edge-of-the-universe/?sh=218b6abc55a3&fbclid=IwAR0-CkollnXK0vTczT0Z7Epu9r4attNqH4pZcjNTbL_JyGLA0qqJVAfU3xM
#Physics #Cosmology #Universe
138억년 역사 중 모든 우주를 다 볼 수 있는 긴 시간이 있었을 것이다.
팽창과 광속 한계 덕분에 현재 관찰 가능한 Observable Universe는 461억 광년 거리 구체로 제한되어 있고, 그것을 넘어선 전체 우주 구조는 관측과 검증이 불가능한 영역이다.
가령 한쪽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면 언젠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순환 구조라고 해도 그걸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며, 은하가 서로 멀어지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미래 세대는 우리가 보는 것보다 더 적은 양의 우주를 보게 된다. 이미 94% 정도 은하가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범위로 도망가 버렸다.
언젠가는 아예 다른 은하를 볼 수 없어, 기록을 신뢰하지 않는 한 자신의 은하가 우주의 전체라고 믿을 수 밖에 없는 때도 오게 된다. Observable Universe에 죽어가는 유일 은하와 빈 공간만 남을 정도로 밀도가 옅어지는 것이다. 우리에게 우주의 끝으로 여겨질민큼 먼 거리를 관측하면 배경복사와 뭉개지듯 형성되고 있는 아기 은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먼 옛날 출발한 빛이 온우주평생 내달리고 도달하여 전해주는 정보이다.
그래서 어떤 의미로 보자면 우주는 작아지고 있으며 빼앗기고 있다. 대체 왜 그런 것인지 알려면 팽창력 원인인 다크에너지를 규명해야 한다.반응형'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223 Net Zero (0) 2022.03.12 20220128 이대남 (0) 2022.03.12 20200913 Apoptosis (0) 2022.03.12 20200816 무기가격 (0) 2022.03.12 20191031 산업혁명 (0) 2022.03.12